01. [프로그래밍/Python] 출력, 변수
*복습 및 초보자 참고용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1-1. 본론에 앞서서..
2021.4.9 부터 개발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첫 언어로 파이썬을 선택했고, 코딩 공부를 전혀 해본적이 없었던 나에게는 쉬운 언어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이썬을 사용하는 것이 굉장히 번거로웠다. 따라서 따로 정리해두지 않으면 안 될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아직은 기초적인 지식의 기반으로 작성된 부족한 게시글이기 때문에, 글이 업로드 되어도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은 지속적으로 수정할 것이다.
아무튼 화이팅!!!!!!!
1-2. 파이썬(Python)의 특징
- 공동 작업과 유지 보수가 쉽다.
- 인터프리터 언어(한 줄씩 소스코드를 각각 해석하여 실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 소스코드가 간결하며, 문법이 쉬워서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 개발 속도가 빠르다.
1-3. 출력
파이썬은 다른 언어와 다르게 소스코드가 간결하고,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서 미리 작성해줘야 하는 전처리 문도 존재하지 않다.
print()를 통해 작성하고,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숫자, 문자열, 리스트 자료형 등이 있으며, 자료형에 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print의 확장)
출력문 하나에 ', '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자료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end 옵션을 가지게 되는데, 맨 끝에 출력될 문자를 제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default값은 '\n'(줄 띄우기)이다.
1-4. 변수
변수란? 변경되는 데이터를 대표하는 이름. 즉 객체를 가리킨다.
(여기서 객체란? 자료형을 포함해서 사용되는 모든 자료를 뜻합니다.)
x = "hello"에서 x는 변수가 될 것이고, 객체는 "hello"가 될 것이다.
x는 "hello" 문자형 자료가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 즉 레퍼런스(reference)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변수에 담기는 데이터들을 표현하기 위해 등호 연산자(=)를 사용하게 된다.
** 프로그래밍에서 등호 연산자(=)는 일반적인 수학 등호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쉽게 말해서 "오른쪽에 있는 자료를 왼쪽 변수에 담는다"라고 이해하면 된다.
변수 이용)
x = 10
name = "코찔찔이" >> 문자 자료형 "코찔찔이"를 'name' 변수에 담는다!
age = 40 >> 숫자 자료형 '40'을 'age' 변수에 담는다!
gong = " " >> '공백'을 'gong' 변수에 담는다!
1-5. 연산자
Python에서 연산자가 중요한 이유!!!
'숫자 + 숫자'와 '문자 + 문자'에서 '+'는 서로 다른 의미를 사용하고 있다.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프로그래밍/Python]반복문 for 개념, range , for 문의 중첩 (0) | 2021.07.07 |
---|---|
04. [프로그래밍/Python]제어문 - 조건문(if), if 문법 활용 (0) | 2021.07.03 |
03. [프로그래밍/Python]조건문 개념 정의, 자료형 bool(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 (0) | 2021.06.26 |
02. [프로그래밍/Python] 자료형(숫자형, 문자형 개념), input (0) | 2021.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