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습 및 초보자 참고용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1-1 'Type'와 '반환' 개념 알고가기.

 

type(자료) : 괄호 안에 있는 자료가 어떤 자료인지 반환해주는 함수.

*반환이란? 

type(자료) >> "괄호 안에 있는 자료는 000입니다!" 

즉, 왼쪽에 사용된 함수가 사용되어 우측의 정보로 바뀌는 것을 나타낸다.

*자료형을 확인하려면?

print를 이용하여 출력해주어야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

 

! python은 다른 언어와 달리 동적언어이기 때문에, 자료형을 변수 앞에 붙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기억하자!


1-2 숫자형

<숫자형(number)이란?>

말 그대로 숫자로 이루어진 자료이며, 정수, 실수, 10진수 또는 2진수와 같은 숫자들도 숫자형 자료형에 포함된다.

정수 : 123, 456 

실수 : 12.3 , 4.56 , 3.4e10

복소수: 45 +3j

<result>

정수형(Int) >> 정수의 자료를 나타냄

실수(float) >> 실수의 자료를 나타냄

복소수(complex)>> 복소수의 자료를 나타냄

 


1-3 문자형

<문자열(string)이란?>

문자와 단어들을 나열하여 구성을 이루는 문자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문자열을 나타내는 방법은 크게 4가지 인데,

>>one line(한 줄 출력)

1) 큰따옴표 1개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2) 작은 따옴표 1개

'12ba'      # 문자와 숫자의 조합 역시 문자열에 속한다.

 

>> lines(여러 줄 출력)

3)큰 따옴표 3개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4)작은 따옴표 3개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1-4 input 

<input 이란?>

자료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함수.

input 함수는 값을 '입력' 할 때 사용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바로 끝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 후, 

enter를 통해 출력된다.

input 함수는 입력값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print로 반드시 출력되어야 한다.


<예제>

 

1) 이름과 나이를 입력받고 출력하는 프로그램.

<result>


2) 두 수를 입력받고, 두 수를 더해주는 프로그램

!! 이대로 실행할 경우,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왜냐하면, a와 b는 숫자를 입력받게 되는데, input함수는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이기 때문에 

출력을 진행하게 되면 숫자가 아닌 문자열로 출력된다.

파이썬에서 덧셈은 문자열끼리의 연결을 나타내주기 때문에 자료의 형태를 변환시켜야 숫자의 덧셈이 나타나게 된다.

 

*자료형 변환 방법*
[바꿔주고 싶은 자료형](자료형)

 

input 앞에 정수형 자료로 바꿔주는 'int'를 붙여 정수형 자료로 변환시킨 후,

프린트를 통해 연산을 출력하게 되면 비로소 원하는 연산값을 얻게 된다.

<result>

 

 

 

 

BELATED ARTICLES

more